서비스에 필요한 인공지능 모델을 알려주세요
새해 첫 한 주를 잘 보내셨나요?
아시다시피 중국이나 우리나라와 같은 동양에서는 열두 동물들이 돌아가며 한 해의 대표 모델이 되어 왔습니다. 2023년의 간지는 계묘(癸卯). 즉, 올해는 토끼의 해인 셈이죠. 여기에 색까지 결합해서 '검은토끼'의 해라고 하는 분도 있습니다.
간지는 천간과 지지를 합쳐 이르는 말로 천간은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를, 지지는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를 의미하죠. 여기에 천간에 따른 색이 갑을(청), 병정(홍), 무기(황), 경신(백), 임계(흑)으로 분류가 된다고 합니다. ( 출처)
재미삼아 특정 년도의 간지와 색상을 알아내는 간단한 python 코드를 만들어 봤습니다. 2023년으로 해 보면 결과는 '계묘 흑' 형태로 나옵니다. |
|
|
[간지를 알아내는 python 샘플코드]
L1 = ['갑','을','병','정','무','기','경','신','임','계']
L2 = ['자','축','인','묘','진','사','오','미','신','유','술','해']
L3 = ['청','홍','황','백','흑']
year = 2023
i, j. k = (year-1444)%10, (year-1444)%12, int((year-1444)%10/2)
print(f'{L1[i]}{L2[j]}',L3[k])
|
|
이번 소이뉴스는 새해맞이 기념(?)으로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진행되고 있는 CES2023과 관련된 소식 가운데 제 눈길을 끌었던 뉴스 몇 가지를 알려 드리고, 간단한 설문조사를 통해 구독자님께서 하시려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위해 어떤 인공지능 모델이 필요한지에 대한 의견을 들어보고자 합니다. |
|
|
CES (The Consumer Electronic Assoication)란?
CES는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가 주관하는 국제전자제품박람회입니다. 첫 시작은 1967년부터라니 역사도 오래 되었습니다. 참가 기업들도 173개국 3100여개에 이르며 전시장 규모도 5만6천평 수준이라고 하니 엄청나네요.
CES 행사가 왜 그렇게 유명한가요?
전세계 유명 ICT 업체들이 각자의 최신 기술과 제품을 소개하는 자리이기 때문입니다. 한마디로 여기에서 얻을 수 있는 게 '세상 신기한 거의 모든 것을 누구보다도 먼저 볼 수 있다'는 겁니다.. 이번에도 5G, AI, 스마트 시티, 크립토, 로보틱스 등 총 41개에 달하는 다양한 분야의 제품과 기술이 소개되는데 이것들은 조만간 우리의 일상에서도 만나볼 수 있게 되겠죠. 행사 인지도 측면을 보면 전시회 중 Top으로, 대략 CeBit (독일 하노버)이나 IFA(베를린), MWC(바르셀로나)와 견줄 정도랄까... 게다가 개최장소가 우리에겐 '사막 위에 만들어진 카지노 도시'로 알려진 미국의 라스베거스라 더 유명해졌죠.
우와... 소이뉴스도 CES2023을 참관하고 있나봐요?
그렇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_-; 저희는 사무실에서 인터넷을 통해서 전해지는 CES 소식을 보는 것으로 만족하고 있습니다. 그 소식들 가운데 눈에 띄는 것들을 알려 드리려고 하고 있구요.
국내업체들도 많이 참가했겠네요.
삼성, LG, SK 등을 비롯한 국내 대기업들은 대부분 참가했고, 중소벤처부 지원으로 국내 스타트업들도 ' K-스타트업관'과 성남시, 성남산업진흥원 지원으로 ' 유레카관(성남관)'을 통해 많이 참가하고 있답니다. 게다가 많은 국내 기업이 CES혁신상을 휩쓸기도 했다니 뿌듯합니다. 정책뉴스( 출처)에 따르면 한국기업은 500여 곳이 참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 예상 참가기업이 3100개라고 했으니 거의 1/6 이 한국 기업이란 얘기가 되나요? 물론 주최측의 수치 예상은 개별 기업 부스를 기준으로 하는 것일 수도 있으니 다소 차이가 날 수 있겠네요.
|
|
|
관심 가져볼만한 것이 있던가요?
우선 CES2023은 이제 막 시작한 셈입니다. 미국 현지 날짜로는 5일(목)부터 8일(일)까지 진행되니까 한국으로 따지면 오늘 밤이 이틀째 날이 되는 셈이네요. 언론사를 위한 전날 공개행사(CES 2023 Unveiled)도 있고 해서 올라온 글들이 일부 있기에 그 가운데 몇 가지를 추려봤습니다.
- CTA 선정 주요 기술 카테고리 (스티브 코닉 CTA 부회장)
앞으로의 주된 기술 트렌드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네요. 크게는 기업분야 테크 혁신, 모빌리티, 웹3.0 & 메타버스, 헬스테크, 지속가능성, 게임 이렇게 6가지 측면을 언급했다고 합니다. 저는 이 가운데서 자율주행과 UAM 등이 포함된 모빌리티 혁신과 원격진료, 디지털치료제 등이 포함된 헬스테크 쪽에 관심을 가지고 있고 더 자세한 내용들이 나오면 다시 들여다 볼 생각입니다. 사실 이 6가지 카테고리가 상호 연관관계들이 있고 기저에 사용되는 기술 또한 인공지능 등과 같이 공통된 것들이 많이 있을 것이기 때문에 하나씩 따로 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서로 어떻게든 엮여서 또 다른 영역을 만들어 낼지도 모르는 것이죠.
- BMW i 비전 Dee 소개
BMW의 컨셉카를 소개하는 세션인데 소개 영상이 멋져서 가져와 봤습니다. 아놀드 슈와제네거, 어린시절 봤던 전격Z작전의 데이비드 해셀호프가 자동차 키트와 함께 나옵니다. 앞으로의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니라 디지털 동반자로서 운전자 혹은 탑승자와의 관계성을 강조하게 될 것이라는 내용인데 실제 판매되는 차량이 이렇게 나올 수 있다면 참 멋질 것 같습니다. (관련 영상)
- MaaS (Metaverse as a Service) - 온디멘드 메타버스 서비스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XR(혼합현실-실제와 가상의 혼합) 기술 등이 결합된 메타버스를 이용해서 특정분야, 특정행동을 위해 고객의 요청 기반으로 한 온디멘드 서비스 가능성에 대한 내용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관련 영상) 그 외에 국내기업 롯데에서 공개한 '내일의 메타버스' 영상도 볼만했습니다.
- John Deere 의 무인 자율주행 트랙터
도로 상의 자동차만 자율주행을 하는 것이 아니죠. 무인비행체, 무인선박 등이 소개되고 있긴 하지만, 아직 산업에 바로 본격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수준까지 나온 것은 많지 않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보면 존디어의 자율주행 트랙터 같은같은 농업분야의 제품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경작 환경 변화, 농업인구 감소, 식량부족 현상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론 경작지가 엄청 대규모 농업에 적합하겠지만 말이죠. (관련 영상)
이외에 삼성의 비스포크 냉장고, 폴딩과 롤링이 함께 되는 스마트폰 또는 타블렛, LG에서 출품한 무선모니터, 초고화질 올레드 TV 등과 같은 것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TV 뉴스 등에서 많이 소개가 되고 있어서 그 부분은 건너 뛰었습니다. 양해 바랍니다. ^^; |
|
|
CES2023에 나온 기술이나 제품에 대해 좀 더 많은 걸 알고 싶은데...
직접 참관을 하지 못하는 분들을 위해 국내에서 참관 후기를 세미나 형태로 열 계획을 가진 곳이 몇 군데 있습니다.
COVID 때문에 참가를 하지 못하는 곳들이 많아서 성남산업진흥원에서 2019, 2020년도를, 창업진흥원에서 CES 2022 리뷰를 무료로 진행하고 그 영상이 Youtube에 공개하기도 했습니다. 아쉽게도 올해는 무료 리뷰 컨퍼런스를 예정하고 있는 곳이 없네요. CES가 끝나고 나면 이후에 일정을 발표할 수도 있으니 기다려 봐야겠습니다. 그 외에 유트브 방송을 통해 CES소식을 전해주고 있는 곳들도 아래와 같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
많은 인공지능 업체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학습과 데이터 전처리 쪽이 많았는데 최근에는 이를 이용한 응용 서비스 분야가 많이 보이는 것 같습니다. 글로벌 분석 기관에서도 인공지능 실행 시장이 확대될 것인데 그 시작이 작년 정도로 예상하고 있었습니다. 생각보다는 약간씩 지연이 되고 있는 것 같긴 하지만 그래도 2023년 새해에는 이런 트렌드가 더 확고해 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뜬금없지만 설문조사를 한번 진행해 보고자 합니다. 구독자님들의 회사에서 서비스하고자 하는 인공지능을 위해 어떤 분야의 어떤 모델을 주로 필요로 하시는지, 혹은 어떤 모델들이 있어야 할 것 같은지 등에 대한 것으로 3~4가지 정도의 간단한 질문을 담아 봤습니다. 구독자님, 아주 조금만 시간을 내서 설문에 응해주시면 정~말 감사 하겠습니다. :-) 답변 주신 의견은 다음 번 소이뉴스에 정리해서 올려 두도록 하겠습니다.
|
|
|
인공지능 서비스의 배포와 운영 시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주)소이넷은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 가운데 서비스 배포와 운영에서 어려움을 겪고 계신 곳에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혹시 구독자님의 회사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겪고 계시지 않나요?
- AI 모델을 개발하고 학습 후 서비스를 위한 성능 (Accuracy)는 달성했는데, 정작 최적화 엔지니어가 없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로의 배포를 위한 실행최적화를 못하고 있어요!
- AI 서비스를 이미 제공하고 있지만, 비싼 클라우드 GPU 서버 인스턴스 사용료가 부담이 되네요. 흠...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없을까?
- 서비스에 적합한 공개 SOTA 모델이 있지만 그대로 가져다 쓰기에는 우리 쪽 어플리케이션에 접목하기도 어렵고 운영 비용도 많이 들 것 같은데 어쩌지?
- 서비스에 사용되는 AI 모델을 통합적으로 관리, 배포, 모니터링을 하고 싶은데 그렇다고 비싸고 너무 복잡한 솔루션을 쓸 수는 없고 어쩌지?
그렇다면 언제든 아래 연락처로 문의 주세요. 함께 해결책을 고민해 드리겠습니다.
- 메일 : support@soynet.io또는 sales@soynet.io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구독자님, 다음 번에 또 다른 재미난 소식으로 찾아뵙겠습니다. |
|
|
구독해 주시면 좋은 소식, 정보로 보답하겠습니다. |
|
|
주식회사 소이넷 sales@soynet.io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331번길 8 (킨스타워) 1503호
대표전화 : 031-8039-5377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