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이 짜주는 여행계획에 대해 알아봅니다 안녕하세요, 구독자님.
이번 한 주도 즐겁고 활기차게 보내고 계신가요?
최근 스트리밍 방송 채널(티빙, 넷플릭스)에서 하는 ' 지구마불 세계여행'이라는 방송을 가끔씩 보고 있습니다. 어릴 적 많이 했던 부루마불의 컨셉을 가져와 비슷하게 만든 게임판에서, 경기말에 해당하는 유명 여행 유튜버들(원지, 빠니보틀, 곽튜브)이 실제 여행을 떠나고 그 곳에서 하는 경험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이죠. 코로나를 비롯한 다른 여러가지 이유로 인해 한동안 해외여행이 먼나라 얘기가 되어었기에 방송을 보며 대리만족을 할 수 있었습니다. 물론 최근에는 엔데믹, 엔화가치 하락 등에 힘입어 해외로 여행을 떠나는 사람들이 부쩍 늘었다고 들었습니다. 제 경우엔 아직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높아진 물가, 불투명한 경기상황 등등... 하긴 이렇게 걱정만 하다가는 아무것도 못하게 되겠죠? 흠... 심기일전하고 지금부터라도 계획을 세워나가긴 해야할 것 같습니다.
이번 소식에서는 이렇게 여행을 가려고 할 때 도움을 줄 수 있게 인공지능을 적용한 여행서비스에 대해 알아보고 지난 소식 이후에 나온 신박한 기술을 짧게 소개 드리겠습니다. |
|
|
국내에는 어떤 여행사들이 있나요?
매출규모 등을 기준으로 최상위권에는 하나투어, 모두투어, 인터파크투어, 노랑풍선, 여행박사 등이 포진해 있습니다. 다들 해외여행을 패키지로 가셨다면 한번쯤은 사용해 보셨을테죠. 그런데 이들 오프라인 여행사들은 지난 코로나 기간 동안 큰 타격을 입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여행수요 감소 때문에 비용절감을 위해 대규모 감원을 한 곳도 있고 그런 조치마저도 통하지 않아 문을 닫은 중소업체들도 부지기수였다고 하죠. 여행업계 빅3조차도 통합평균을 내 보면 코로나 직전 대비해 2021년에는 1/10 수준으로 매출이 떨어졌다고 합니다. ( 기사)
이 와중에 여행업계에서는 위기 극복을 위해 M&A로 돌파구를 찾기도 했는데요, 인터파크의 트리플 인수와 그 야놀자의 인터파크 인수, 여기어때의 온라인투어사 투자, 교원그룹의 KRT여행사 인수 등이 그 예가 되겠습니다. 그리고, 온라인 여행사 혹은 온라인 여행서비스 플랫폼 기업들이 많이 많이 생겼다는 것도 변화의 한 모습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제일 잘 알려진 곳이 야놀자와 여기어때 같은 곳이고 그 외에 아래에 소개할 다양한 스타트업이나 벤처들도 있답니다.
|
|
|
국내의 인공지능 여행 플래너 서비스는 어떤게 있나요?
국내외 여행을 중개하는 서비스들이 많은데 그 가운데 대외적으로 AI를 적용하고 있다고 알려진 곳들 가운데 일부를 소개합니다. 물론 서비스 내부에는 대부분 다 적용하고 있으리라 생각되지만요... (회사명과 서비스명으로 구분합니다)
- 마이리얼트립 (마이리얼트립)
여행가이드 예약부터 시작해서 현재는 숙박, 액티비티, 항공권, 렌터카 등 여행관련 종합 예약 플랫폼으로 변모한 중견 벤처기업입니다. 최근 ChatGPT를 적용해서 인공지능과 대화를 통해 여행 계획을 짤 수 있는 'AI 여행플래너'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 엠와이알오(마이로:MYRO)
AI 기반 여행 일정 플래너 서비스인 '마이로'를 운영하고 있는 스타트업입니다. 가고 싶은 곳을 선택하면 AI가 알아서 위치, 동선 및 이동/체류시간 등의 일정을 짜주는 서비스인데 일일이 검색하던 과정을 획기적으로 단축시켜 주면서 자신의 취향에 맞춘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위시빈 (위시빈)
위시빈은 여행정보 제공, 여행일정 짜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사용자가 직접 다녀온 여행지와 관련된 콘텐츠 쪽에 좀 더 방점을 두고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최근 AI 및 블록체인을 활용해서 사용자 맞춤형 콘텐츠 제작과 활동에 따른 보상 등을 제공하는 기능을 통해 플랫폼 고도화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관련기사)
- 누아 (NUUA)
누아는 AI 기반 통합 항공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입니다. 전세계 항공 예약, 판매 시스템 표준 지원 시 요금책정 자동화, 대용량 항공 트래픽 동시처리, 백오피스 지원 등에 AI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고 합니다.(관련기사)
- 스토리시티 (여다)
여다는 1분만에 자신에게 맞는 여행일정을 짜주는 여행 큐레이션 서비스입니다. 최적의 여행동선과 여행지 추천 등 다양한 영역에서 AI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트립비토즈, 로다의여행, 스테이폴리오, 타이드스퀘어 등과 같은 많은 트레블테크 기업들이 여행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앱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MAPS.ME (맵스미-여행지오프라인맵), TRABEE( 트라비포켓- 여행가계부) 같은 곳도 있구요. 해외에는 온라인 여행서비스 플랫폼인 호텔스닷컴이나 일본에서 여행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부크스타일 (하프:HafH)와 같은 곳들도 있습니다. 후자는 최근 지사 설립과 함께 한국 진출을 공식화 했습니다.
이렇게 여행관련 서비스 업체를 찾다보니 저한테는(혹은 저한테만?) 참신해 보이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있었습니다. (인공지능과 직접 연결이 되지는 않을지도 모릅니다만...)
트래블메이커스 (호텔에삶) 호텔 롱스테이 플랫폼을 표방하고 있습니다. 보통 호텔이라고 하면 비싸서 며칠 이내의 숙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반해 이곳은 호텔 장기 숙박 서비스를 연결시켜 주는 플랫폼입니다. 장기숙박의 경우, 호텔 입장에서도 안정적인 물량 확보가 되는 것이니 좋고 손님 입장에서는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어서 좋으니 서로에게 도움이 되겠죠. 얼마 전 달라스튜디에서 방송하는 '네고왕' 프로에서 한화호텔앤리조트의 평일 이용권 할인 딜을 하던 것과 비슷한 효과를 평상시에 사람들이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 같아 흠... 그냥 참신함에 칭찬 한번 하고 싶습니다. (참고로 저는 이 서비스를 이용해 본 적도 후원받은 적도 없답니다... 그냥 제주에서 그렇게 살아보고 싶을 뿐이니 오해는 마세요. ^^;) |
|
|
사진) 호텔에삶에서 '제주' 검색 결과 (출처) |
|
|
여행 관련해서 추가로 읽어볼만한 내용이 있으면 알려주세요.
제가 찾아본 것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여행 계획 짜기 귀찮을 땐 이렇게"…'챗GPT' 똑똑하네 (한국경제, 2023.2)
- 반도체 다음은 K관광 … 트래블테크가 답이다 (매일경제, 2022.11)
- 여행 간다면 꼭 깔아야 하는 유용한 앱을 추천해줄게!ㅣ여행 필수 앱ㅣ트리플ㅣ구글지도ㅣ파파고ㅣ트라비포켓ㅣ스카이스캐너ㅣ로다의 여행ㅣ맵스미 (영상)
- 트래블테크 스타트업 분석 (스테이폴리오, 트래블메이커스, 트립비토즈) (리서치, 2023.2)
- “3시간짜리 데이트 코스 좀 짜줘”...여행일정 척척박사님 뜬다 (매일경제, 2023.4)
- 엠와이알오 "여행준비 10시간? 10분으로 단축하세요." (벤처스퀘어, 2023.3)
- 메타버스 관광·맞춤 여정…'여행 판' 바꾸는 트래블테크 벤처 (한국경제, 2022.11)
- 온라인 여행사 시장, 구글 참전으로 지형 바뀌었다 (바이라인네트웍스, 2022.10)
- [창간 30주년 기획] 코로나19가 남긴 것에 대하여|멈춘 여행, 떠나간 여행인…여행산업 판도 바꿀까 (여행신문, 2022.7)
- [뉴스락 특별기획 | K산업, 코로나를 이겨내다 여행업계] "가파른 실적 레버리지가 시작될 것" (뉴스락, 2023.3)
- 엔데믹시대 여행트렌드 소비자조사 및 분석 (여행신문, 2022.6)
2022년 진행한 '소비자가 원하는 해외여행' 설문조사에 대한 결과 요약
|
|
|
지난 소식 이후에 새롭게 소개된 인공지능 관련 소식을 몇 가지 전해 드립니다.
Gradio Multiple Client 지원 (데모)
Gradio 앱을 만들 때 모델 별로 하나씩 생성했었는데 이제는 복수의 모델을 Chain으로 엮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나중에 저도 데모 하나 만들어 봐야겠습니다.
|
|
|
사진) gradio multi client 적용한 사례 예시 (출처) |
|
|
OpenAI의 ChatGPT 대항마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네요. 오픈소스로 진행하고 있고 지난 번 소개해 드렸던 Open Assistant를 이용하고 있답니다. 질문을 해 보면 아직은 ChatGPT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비슷하게 답을 해 줍니다. 아직은 성장 중이니 앞으로 어떻게 변화해 갈지 사뭇 기대됩니다.
|
|
|
-사진) HuggingChat을 이용한 질문 예시. 현재 서울 기온과 미국 대통령 이름을 정확히 답해줍니다! |
|
|
얼마전 소개됐던 SAM (Segmet Anything)을 이용해서 비디오 스트림 상에서 개체를 추적(tracking), 분할(sementation), 그리고 이를 이용한 비디오 인페인팅 등을 지원하는 기술입니다. 써먹을 곳이 많겠죠?
|
|
|
사진) Track-Anything 적용된 in-painting 예시 (출처) |
|
|
인공지능 서비스의 배포와 운영 시 도움이 필요하신가요?
(주)소이넷은 인공지능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 가운데 서비스 배포와 운영에서 어려움을 겪고 계신 곳에 도움을 드릴 수 있습니다.
혹시 구독자님의 회사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을 겪고 계시지 않나요?
- AI 모델을 개발하고 학습 후 서비스를 위한 성능(Accuracy)은 달성했는데, 정작 최적화 엔지니어가 없어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로의 배포를 위한 실행최적화를 못하고 있어요!
- AI 서비스를 이미 제공하고 있지만, 비싼 클라우드 GPU 서버 인스턴스 사용료가 부담이 되네요. 흠...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방안이 없을까?
- 서비스에 적합한 공개 SOTA 모델이 있지만 그대로 가져다 쓰기에는 우리 쪽 어플리케이션에 접목하기도 어렵고 운영 비용도 많이 들 것 같은데 어쩌지?
- 서비스에 사용되는 AI 모델을 통합적으로 관리, 배포, 모니터링을 하고 싶은데 그렇다고 비싸고 너무 복잡한 솔루션을 쓸 수는 없고 어쩌지?
- 비즈니스 도메인 기업이긴 한데 자체로 인공지능을 적용하기에는 기술적인 난이도도 있고... 어디 함께 공동 솔루션을 개발할 곳은 없을까?
그렇다면 언제든 아래 연락처로 문의 주세요. 함께 해결책을 고민해 드리겠습니다.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구독자님, 색다른 소식을 가지고
다시 찾아뵙겠습니다. |
|
|
구독해 주시면 좋은 소식, 정보로 보답하겠습니다. |
|
|
주식회사 소이넷 sales@soynet.io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331번길 8 (킨스타워) 1503호
대표전화 : 031-8039-5377
|
|
|
|
|